타이어 자전거자료실 자전거 폐타이어 처리법 자전거 폐타이어 처리법. 수명이 다한 타이어의 경우 휠셋의 림과 맞물려 이탈을 방지하는 타이어의 비드(Bead)부분이 어떤 소재로 되어 있느냐에 따라 처리가 수월하기도 하고 어렵기도 하다. 아래 사진의 타이어처럼 비드가 캐블라(Kevlar fibers)소재인 경우 타이어가 쉽게 접히기 때문에 돌돌 말아서 쓰레기 봉투에 넣으면 부피를 크게 차지하지 않으니 처리하기가 쉽다. 로드바이크의 경우엔 산악용 타이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아서 한두번 정도 접어도 부피가 작아진다. 문제는 비드의 소재가 철사(Wire bead)인 경우는 잘 접히지 않고, 접었다 하더라도 원형으로 복원하려는 힘이 강해 처리가 쉽지 않다. 이런 경우 먼저 절단공구로 타이어 안쪽 비드의 철사 부분을 절단한 다음, 지면과 접촉하는 면을 다시 절.. 자전거정비/타이어&튜브 로드바이크 클린처 타이어 분리 및 설치 펑크 수리법. 로드바이크 클린처(Clincher) 타이어 분리 설치 그리고 펑크 수리법. 로드바이크의 타이어는 크게 클린처, 튜블러(Tubular), 튜블리스(Tubuless) 이렇게 세가지로 나뉜다. 각 타이어의 특징에 대해서는 이전 포스팅에서 다루었으므로 생략하고 가장 비중이 높은 클린처 타이어의 분리와 설치 그리고 펑크에 대처하는 방법에 대하여 글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클린처는 타이어 내부에 이너튜브를 사용하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자전거 타이어이다. 유지 관리와 가격적인 부분에서 경쟁력이 있다보니 사용자의 폭이 넓고 흔하게 접하는 방식이다. biketool링크 타이어 정비 관련글 더보기 로드바이크 정비 관련글 더보기 이전에 설명한 산악자전거 타이어 교체법 그리고 펑크 수리법과 크게 차이는 없다. 과정은 동영상을.. 자전거자료실 자전거 타이어 수명과 교체시기 자전거 타이어 수명과 교체시기. 딱히 수치로 정해진 수명과 교체시기는 없으나 일단 마모가 많이 진행된 타이어는 제대로 된 성능을 발휘하기가 어렵고 비교적 펑크가 발생할 확률도 높아진다. 산악자전거용 타이어일 경우 타이어 중심의 올록볼록한 트래드(Tread)드의 마모가 얼마나 진행되었는가에 따라 교체시기를 결정하게 된다. biketool링크 자전거타이어구조및 정비관련글 더보기 로드바이크도 타이어 중심이나 좌우에 홈이나 무늬의 남은 정도로 결정하게 되는데, 본격 로드바이크의 경우는 감각에 의존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장착한지 얼마 안된 타이어의 트래드 마모가 많이 되어 내부 케이싱까지 드러난 타이어, 교체시기가 한참 지난 타이어이다. 산악자전거의 경우 대부분의 유저들은 새것일 때와 비교해 트래드의 마모가 2.. 자전거정비/타이어&튜브 로드바이크 튜블러 타이어 장착법 로드바이크 튜블러 타이어(Tubular tire) 장착법 튜블러 타이어를 장착하는 방법은 전통적인 접착제를 림과 타이어에 도포한 다음 둘을 결합하는 방법과 근래 소개되고 있는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나뉜다. 먼저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필요한 준비물은 아래와 같다. 준비물 - 펌프 - 튜블러 본드, 시멘트 - 솔 - 아세톤이나 알콜 또는 친환경 디그리서 - 사포, 깨끗한 천 - 타이어레버 튜블러 타이어는 장착에 있어 클린처에 비해 번거롭고 약간의 기술과 경험이 필요하다. 신중한 작업이 이뤄지지 않으면 타이어의 이탈로 부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더욱 세심한 손길이 필요한 작업이다. 타이어 수입사로 유명한 슈발베의 공식 미캐닉의 설명을 일단 들어보도록 하자. 교과서에 가까운 설명이지만 여러 미캐닉들.. 자전거자료실 자전거 타이어 부위별 명칭과 구조에 따른 분류 및 특징 자전거 타이어 부위별 명칭과 구조 그에 따른 분류 및 특징. 이전 포스팅을 통해서 자전거 타이어는 여러가지 사이즈로 공급되고 있다는 점을 알아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자전거 타이어의 부위별 명칭과 구조를 알아보고 그에 따라 나뉘어지는 타이어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글을 이어가겠다. biketool링크: 자전거 타이어 사이즈 어떻게 보면 먼저 다루었어야 할 내용인데 계통 없이 생각나는 대로 포스팅 하다보니 순서가 좀 뒤죽박죽이 되었다. 사이즈에 따른 분류 말고도 자전거 타이어는 용도별로도 나눌 수 있다. 어떤 상황 어떤 용도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크게 로드용과 산악용으로 나뉘고 이 둘 안에서도 자전거의 장르에 따라 여러가지로 가지가 쳐진다. 가령 로드의 경우 본격적인 레이싱용, 시티용, 하이브리드용 등등..... 자전거정비/타이어&튜브 생활자전거 타이어 교체 2 생활자전거 타이어 교체 2, 장착. 준비물 - 펌프- 타이어레버- 15미리 스패너- 비눗물이나 이지핏 biketool링크 생활자전거 타이어 교체 1 생활자전거 타이어는 대부분 비드에 철심이 들어가 있어서 접히지 않는다. 반면 산악자전거나 로드바이크의 비교적 고가의 타이어는 비드 내부에 철심이 아니라 캐블러라는 소재로 채워져 있다. 실제 비드를 절단해보면 세가닥정도 가느다란 철사가 내부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공기를 넣었을 때나 타이어에 측면으로 힘이 가해질 때 타이어가 림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소재의 개발로 이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 캐블러이다. 무게는 당연히 철심보다 가볍고 더 높은 공기압에도 철심에 비해 비드가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장시간 브레이킹으로 림에서 .. 자전거정비/타이어&튜브 생활자전거 타이어 교체 1 생활자전거 타이어 교체 1, 분리. 준비물 - 펌프- 15미리 스패너- 타이어레버- 비눗물이나 이지핏 로드바이크나 산악자전거와 큰 차이는 없으나 생활자전거는 나름의 특성으로 휠셋의 분리나 타이어 교체작업시 약간의 요령이 필요하다. 산악자전거나 로드바이크에 관한 내용은 이미 이전에 다루었으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생략하고 생활자전거에 필요한 내용만 다루어보겠다. biketool링크 휠셋분리와 장착 튜브밸브종류 타이어와 튜브 분리와 장착 가장 큰 차이라면 많은 생활자전거에서는 여전히 큐알레버가 아니라 15미리 너트를 사용하여 휠셋고정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휠셋탈착을 위해서는 15미리 스패너가 필요하다. 비눗물이나 이지핏은 생활자전거보다 산악자전거 타이어나 튜블리스 타이어의 탈착에 주로 사용되는데 오.. 자전거자료실 자전거 타이어 사이즈의 종류 호환과 선택. 자전거 타이어 사이즈의 종류 그리고 선택과 호환 및 두께. 자전거 타이어 옆면을 보면 몇가지 수치가 양각되어 있다. 타이어와 관련한 정보들이다. 사이즈와 적정공기압, 회전방향 그리고 두께. 이런 정보들은 아직 하나로 통일되어 있지 않아서 유저들에게 혼란을 주기도 한다. 가끔 같은 사이즈를 구매했는데 두께가 다르다는 의문을 토로하는 유저들도 심심찮게 만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타이어 겉면에 양각된 각종 수치를 바탕으로 사이즈 종류와 적당한 선택 그리고 각 타이어끼리의 호환 문제에 대해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먼저 타이어 옆면을 살펴보면 많은 경우 아래와 같은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26 × 1.95]나 [700 × 23C]같은... 전자는 산악자전거에서 많이 볼 수 있고 후자는 로드바이크 타이.. 자전거정비/타이어&튜브 자전거 튜브 펑크 수리 2, 바퀴를 분리하지 않고 간편하게 자전거 튜브 펑크 수리 2, 바퀴를 분리하지 않고 간편하게 준비물 .장갑.타이어레버.펑크 패치 킷.펌프 펑크가 났을 때 휠셋을 분리하여 튜브 전체를 빼내 수리하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에서 이미 다뤘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장거리 여행 중에는 조금 번거로운 면이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편하게 바퀴를 분리하지 않고 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특히 요즘 산악자전거는 대부분 디스크브레이크를 장착하고 있어 휠셋을 분리하여 펑크 수리를 하면 수리 후 다시 휠셋을 장착했을 때 브레이크 패드와 로터가 닿아 소음이 발생하기 쉽다. 필자는 브레이크 세팅을 다시 하기 번거로워서 이 방법으로 수리를 한다. 튜브가 완전히 찢어지는 정도의 펑크가 아닌 이상은 열에 아홉 이 방법으로 문제없이 수리를 해왔다. 설명을.. 자전거자료실 산악자전거 타이어 선택 산악자전거 타이어 선택 산악자전거의 성능향상에 있어서 가장 적은 비용으로 효과를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은 역시 타이어의 교체이다. 성능향상이라고 한다면 역시 평균속도의 향상과 앞으로 나아가는 주행감의 증가를 들 수 있겠다. 대부분의 완성차를 구매하게 되면 가장 비중이 높은 타이어는 26*1.95사이즈의 트레드가 두꺼운 XC용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다. 타이어 옆면을 살펴보면 타이어 사이즈가 수치로 양각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타이어 역시 다양한 용도와 사이즈로 구분되어 공급되고 있다. 이전에 설명했듯이 산악자전거로 산만 다니는 것이 아니다. 지프차로 고속도로를 다니지 못하는 것이 아닌 것처럼. XC타이어 기준으로 타이어의 수명은 우둘투둘하게 튀어나와 있는 타이어 중앙의 트레드가 삼분의 이 이상 마모가 ..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