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하는질문 자주하는질문 아비드 디스크 브레이크 피스톤이 들어가지 않을 때 넣는 방법은? 아비드 디스크 브레이크(Avid disc brake) 패드 교체를 위해 피스톤을 원위치 시키려고 하는데 꿈쩍도 하지 않는다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 역시 잊을만하면 가끔 듣게 되는 질문이다.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Pad)를 교체하는 방법은 자전거 디스크 브레이크라면 대부분 그 순서가 같다. 1.브레이크 패드 고정핀 제거. 2.패드 제거. 3.돌출된 피스톤 좌우를 양쪽으로 원위치 시키기. 4.새 패드 삽입. 5.고정핀 원위치. 6.레버를 잡았다 놓았다 반복해서 압력 끌어올리기. 7.패드와 로터(Rotor)가 닿는 부분이 있다면 캘리퍼(Caliper) 세팅. 아비드는 아니지만 위의 과정은 이전에 올린 시마노 패드교체 관련글을 참고하면 자가정비가 어렵지 않을 것이다. biketool링크 디스크브레이크 패.. 자주하는질문 자전거 유압 디스크브레이크 좌우는 어떻게 바꾸는가? 브레이크 레버를 잡으면 이전에는 앞브레이크가 오른쪽이고 뒷브레이크가 왼쪽이었는데 최근에 구매한 자전거의 경우 방향이 반대라서 불편하고 적응이 안되어 위험하다. 좌우를 예전처럼 바꾸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되는가? 요즘은 저가형 자전거라도 브레이크의 방향이 이전과 다르게 공급되고 있다. 안전규정의 변경으로 그렇게 되었는데 어릴 때 자전거를 배운 사람 중에 요즘 자전거는 브레이크 레버를 잡으면 작동하는 앞뒤가 달라 당황스럽다는 사용자가 가끔 있다.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유압디스크 브레이크의 좌우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 간단하게 브레이크 레버 고정 클램프만 분리하여 좌우를 옮겨주는 방법- 유압 브레이크 케이블을 레버에서 분리 후 좌우를 바꾸어 다시 연결하는 방법 전자의 방법은 아.. 자주하는질문 자전거 타이어가 출렁거린다. 이유는 무엇이고 정비법은 있는가? 자전거 타이어의 특정 지점이 좌우로 흔들린다. 림이 휘어서 그런 것인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가? 알아보니 림을 교정해야 한다고 하던데……. 자전거와 자전거 정비 입문 시기에 한번쯤 겪는 일이다. 이런 현상은 크게 아래와 같은 이유로 발생하게 된다. - 오랜 사용이나 갑작스러운 큰 충격으로 림(Rim)이 휘었을 때 - 새 타이어로 교체하고 나서 타이어의 비드(Bead)가 일정하게 림에 장착 되지 않았을 때 - 튜블러(Tubular)타이어의 경우 초기 장착을 잘못하였거나 사용중 타이어의 일부분이 이탈되었을 때 - 허브에 유격이 발생했을 때 - 타이어 성형 불량일 때 먼저 가장 빈도가 높은 경우는 림에 변형이 있을 때이다. 사고나 기타 강하게 충격을 준 경우는 사용자가 파악하기 어렵지 않다. 강한 충격 .. 자주하는질문 튜브를 교체했는데도 펑크가 반복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펑크가 나서 얼마전 튜브를 교체했다. 자전거를 타지 않고 세워만 두었는데도 공기가 빠졌다. 펑크가 반복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타이어 안쪽에 이너튜브(Inner tube)가 장착되는 클린처(Clincher)방식의 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입문자들이 필수라고 할 정도로 겪는 일이다. 물론 이너튜브를 사용하지 않는 튜블리스(Tubeless)나 튜블러(Tubular)방식의 타이어라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한다. 먼저 새 튜브로 교체작업을 했음에도 펑크가 반복되는 이유를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 교체나 수리작업시 타이어 레버 조작 미숙. - 튜브 장착시 타이어 비드(Tire bead)에 씹힌 채로 장착했을 때. - 튜브의 일부가 꼬인채로 장착되었을 때. - 타이어 조직 내외부에 이물질이 남아 있을 때. - 림테이프.. 자주하는질문 스프라켓 수명은 어떻게 확인하는가? 체인의 수명이 다해서 새것으로 갈았다. 그런데 특정 스프라켓 코그(Sprocket cog)에서 오작동이 발생한다. 헛돌기도 하고 튀는 것 같기도 하는 증상이다. 새 체인인데 왜 그런가? 주변에 물어보니 스프라켓이 마모가 되면 그렇다는데 사실인가? 만약 그렇다면 스프라켓 수명은 어떻게 체크 하는가? 이 질문도 비교적 자주 듣는 질문이다. 먼저 변형은 어디에서 일어나는가? 부터 살펴보자. 라이더가 페달을 밝으면 크랭크에서 발생한 힘이 체인에 의해 뒷바퀴 스프라켓 코그 이빨로 전달되어 자전거는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따라서 체인은 물론이고 앞뒤 톱니바퀴에는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수밖에 없다. 체인의 롤러(사진상의2)부분이 스프라켓 코그의 턱(사진상의1)에 강하게 접촉하게 된다. 힘을 지속적으로 받은 체인은 2.. 자주하는질문 시트포스트가 슬금슬금 내려간다. 무엇이 문제인가? 시트포스트(Seat post)가 고정이 안된다. 타다 보면 안장이 아래로 내려간 것이 느껴질 정도이다. 문제점이 무엇이고 해결책은 있는가? 자전거 입문 단계에서 자주 겪는 문제이다.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매하게 되면 요즘은 간단한 피팅과정을 거치므로 매장 운영자나 경험 많은 직원이 시트포스트(안장봉)를 고정해주기 때문에 온라인 구매에 비해 문제를 겪을 빈도는 낮다. 그래도 자전거를 타다보면 이런저런 이유로 안장을 고정하고 있는 시트포스트 클램프(Clamp)를 느슨하게 풀어야 하는 일이 있다. 부품의 교체와 같은 정비과정을 거치고 나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고는 한다. 특히 카본 소재의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에 이런 증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먼저 시트포스트가 슬금슬금 내려가는 이유를 빈도순으로 .. 자주하는질문 자전거 포크가 흔들린다. 무엇이 문제인가? 내리막 내려오면서 브레이크를 잡으니 포크가 흔들린다. 주변에 물어보니 포크 고정부위에 유격이 생기면 그렇다는데 무엇이 문제인가? 포크가 흔들리는 증상의 원인은 크게 아래와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포크를 고정하는 순서를 바르지 못하게 작업했을 경우. 2.포크를 고정하는 부속인 헤드세트(Head set)부속 중 일부 부속이 빠진 상태에서 조립되었을 경우. 3.헤드세트 부속의 고정상태가 풀려 느슨해졌을 경우. 4.오랜 사용으로 헤드세트의 부속이 망가지거나 느슨해졌을 경우. 5.헤드세트 부속과 포크의 규격이 맞지 않을 경우. 6.휠셋 큐알이 느슨하거나 허브에 유격이 발생하여 포크가 흔들리는 것으로 오인할 수도 있다. 1번의 경우가 가장 빈도가 높고 아래로 갈수록 낮다. 헤드세트와 관련한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 자주하는질문 휠셋을 두 개 운용하려고 한다. 가능한가?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자전거 한 대에 휠셋(Wheel set) 두 개를 운영하려고 한다. 하나는 외부에서 시합이나 평상시 쓰고 하나는 실내 훈련용으로 저렴한 제품을 사용하고자 한다. 가능한가?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이런 경우를 포함해서 자전거 한 대에 휠셋을 두 개 준비해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로드바이크에서 그렇다. 타이어의 방식에 따라 튜블러(Tubular)와 클린처(Clincher)에 맞는 휠셋을 따로 구매해 놓고 상황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한다거나 카세트 스프라켓(Cassette sprocket)의 이빨갯수를 달리해 운용하려는 경우도 그렇다. 평지에 적당한 이빨구성과 오르막에 유리한 이빨구성을 정해 두고 역시 당일 라이딩 상황에 따라 교체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다른 장르에서는 흔하지 않고 로드바이.. 자주하는질문 바퀴를 꼈다 뺐더니 잘 구르지 않는다. 이유는 무엇인가? 바퀴를 뺐다가 다시 재장착한 다음 자전거를 공중에 띄운 상태에서 돌려보니 몇바퀴 구르다가 멈춘다. 처음 구매했을 때는 상당히 오래 돌다가 멈췄는데…… 무엇이 문제인가? 로드바이크든 산악자전거든 어떤 장르의 자전거를 구매했더라도 입문단계에 있는 라이더라면 대부분 겪는 문제이다. 차량이동이나 펑크수리등의 이유로 단순히 휠셋을 자전거에서 분리했다가 재장착했을 뿐인데 이런 증상을 겪게 된다면 이유는 간단하다. - 로드바이크처럼 림브레이크(Rim brake)가 장착되어 있는 자전거의 경우 림과 패드(Pad)가 닿기 때문이고 - 산악자전거처럼 디스크브레이크(Disc brake)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는 디스크 로터(Rotor)와 패드가 닿기 때문이다. 림브레이크라도 새자전거의 경우 패드의 마모가 적기도 하고 초기 세.. 자주하는질문 림테이프의 역할은 무엇인가? 림테이프(Rim tape)의 역할은 무엇인가? 림테이프는 자전거 휠셋의 테두리인 림(Rim) 안쪽에 장착되는 자전거부속이다. 역할은 림이 어떤 종류이냐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가장 비중이 높은 클린처(Clincher) 타입의 휠셋일 경우 림테이프는 튜브를 림의 날카로운 부속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림은 단일림이나 이중림의 경우 니플과 스포크가 통과하는 구멍등이 가공되어 있어서 튜브에 공기압이 들어갈수록 서로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림테이브가 없을 경우 금속부위와 튜브가 지속적으로 밀착이 될 경우 변형이나 찢어지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 이상을 방지하기 위해 림테이프가 림을 빙둘러싸게 된다. biketool링크 자전거 타이어 관련글 더보기 별도의 이너튜브(Inner tube)를 사용하지 않는 ..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