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전거자료실

트라이얼 자전거

반응형


트라이얼(Trial bicycle) 자전거의 몇가지 특징.


트라이얼 자전거는 각종 지형지물을 대상으로 자전거 기술을 발휘하여 묘기를 보이기 위한 자전거이다. 인위적인 충격이 자전거에 가해지는 터라 일반적인 라이딩을 위한 자전거와는 달리 프레임 지오메트리는 물론 부속에서도 몇몇 차이가 있다.


프레임은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내구성이 담보되어야 하므로 시트튜브의 길이가 짧고 튜브 자체에도 가공이 많이 가해진다. 접합부가 보강이 되기도 하고 구부려지기도 한다.



라이딩을 위한 자전거가 아니므로 안장을 설치할 부분이 없어서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일이 많다. 물론 안장이 있는 경우도 있다. 




휠셋의 특징은 림의 폭이 여타 장르의 자전거보다 넓고 무게 감량을 위해 림의 가운데를 가공하는 경우가 있다. 펑크 방지에도 도움이 되고 기술을 건 다음 휠셋의 반발력을 이용해야 하는 경우에도 림의 가공은 도움이 된다.



림브레이크라도 유압을 이용한 마구라 브레이크가 인상적이다. 강한 제동은 트라이얼에 필수이기 때문에 유압 림브레이크가 적용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수요가 적어 공급이 원활한 것은 아니나 림브레이크라도 유압을 사용하는 브레이크가 에코를 비롯해 마구라에서도 제조되고 있다.



더 강한 제동력을 위해 림 표면을 그라인더로 갈아서 거칠게 만든 별도의 작업이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1미리 이상의 가공은 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휠셋이 장착되는 뒷삼각 부분은 일부 픽시나 특히 트랙 바이크와 흡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충격에 더 안정적인 구조이다.



체인 역시 일반적인 체인보다 좀 더 보강된 구조를 띠고 있다. 



픽시와 차이라면 뒷허브는 고정기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앞쪽 크랭크 체인링 중심에 라쳇이 들어 있어서 페달링 없는 공회전시 앞쪽에서 라쳇음이 발생한다.


아무래도 기술적인 라이딩을 실시할 때 강하게 페달을 밟아줘야 할 경우가 많은데 허브쪽 라쳇이 망가지는 경우를 대비하여 더 크고 강한 라쳇을 앞쪽에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자전거를 잡고 들어올리거나 중심이동을 안정적으로 하기 위해 핸들바 역시 독특한 형태를 띠고 있다.



시선을 끄는 날렵한 디자인의 유압 디스크 브레이크 레버.



딱히 트라이얼뿐만이 아니라 이런 형태의 자전거의 경우 펑크나 기타 정비시 뒷바퀴를 탈착할 때는 아래의 순서에 따르면 된다.


1.좌우 고정볼트를 육각렌치로 푼 다음.



2.좌우 체인스테이 안쪽 작은 구멍으로 육각렌치를 삽입하여 체인 텐션 조절볼트를 풀어준다. 시계반대방향으로. 그러면 체인이 느슨해지고 톱니바퀴에서 체인을 이탈시킬 수 있다. 


3.고정볼트를 제거하고 휠셋을 분리하면 된다.



휠셋조립은 분해의 역순으로 해준다. 앞뒤 톱니바퀴에 체인을 걸어주고 프레임에 휠셋을 위치시킨 다음 체인 장력 조절 볼트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서 체인 장력을 높여주어야 하는데, 이때 주의할 점은 양쪽을 같은 정도로 조여주어야 한다.


한쪽만 많이 돌리면 휠셋이 한쪽으로 치우쳐지게 된다. 


체인의 적당한 장력은 이전에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체인의 장력을 높여주면서 수시로 체크를 해봐야 한다. 체인을 위로 올렸을 때 체인과 체인스테이 사이의 간격(빨간점으로 표시한)과 내렸을 때 체인과 체인스테이 사이의 간격간 차이가 12미리를 넘지 않은 상태가 좋다.


biketool링크  픽시 체인 장력 조절 관련글 더보기



차이가 그 이상이면 체인의 장력이 느슨하여 체인이탈이 발생하기 쉽다. 그렇다고 너무 팽팽하게 당기면 페달링이 어려워지고 구동계열의 비정상적인 마모가 진행되니 주의해야 한다.




워낙 사용자가 적은 장르의 자전거이다보니 프레임이나 부품 자체의 완성도가 다른 장르의 자전거, 본격 로드바이크나 산악자전거에 비해 높은 편은 아니다. 어떻게 보면 험하게 타는 자전거이니 내구성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어서 다른 부분은 크게 신경을 쓸 필요가 없기도 하고.


지인이 요즘 한참 열정을 불태우고 있는 자전거라 보기에 신기해서 카메라를 들이대게 되었다. 트라이얼 자전거에 대한 이해에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자전거공작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