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전거자료실

자전거 안장에 관하여

반응형


자전거 안장(saddle)에 관하여.


자전거 안장 만큼 개인의 호불호가 나뉘어 지는 자전거 부품은 없는 것 같다. 형태나 종류도 천차만별이고 그에 따른 기능에 있어서도 많은 차이가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전거 안장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먼저 자전거 안장의 각 부위의 명칭과 소재, 사이즈, 안장통증의 원인과 해결, 안장의 종류와 선택의 순으로 글을 이어가도록 하겠다.


biketool링크   안장의 위치      안장설치와 분리



자전거 안장의 각 부위의 명칭과 소재.


먼저 안장코이다. 안장의 앞부분을 말하는데 여러 브랜드에서 다양한 형태로 공급되고 있다. 특히 산악자전거의 경우 일반적인 로드바이크의 안장코보다 그 길이가 길고 여러가지 형태를 지닌다. 사진상 상단의 셀레 에스엠피의 경우 그 모양이 살짝 구부려져 있는 형태다. 이는 산악자전거 라이딩에 있어 보다 편한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산악자전거는 사진과 같이 오르막을 오르거나 높은 장애물을 통과할 때 체중을 자전거 앞쪽으로 이동시키는 자세를 취한다.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안장의 코가 라이더의 중요부위를 자극하고 있는 형태가 된다. 


짧은 오르막일 경우는 크게 문제가 안되지만 오래 이어지는 업힐(Up hill)구간일 경우 구부러진 부위에 엉덩이를 붙이고 페달링을 하면 없는 경우보다는 어느정도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저히 자전거를 타고 지날 수 없는 지형을 만났을 때는 자전거를 어깨에 둘러메고 횡단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안장코를 어깨에 걸친 상태에서 걷게 된다. 이런 상황을 위해 안장코의 모양과 어깨가 닿은 부위의 소재나 디자인을 라이더에게 불편함을 덜어줄 수 있도록 고안되어 공급되고 있다.


모든 회사가 경쟁관계에 있다보니 디자인이 일률적으로 적용되어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각기 자기 회사 제품의 우수성을 부곽시키기에 바쁘고 특허관게도 있어서 그렇다. 로드바이크의 경우엔 일반적인 경우 이 안장코가 산악자전거에 비해서는 좁고 짧게 공급된다. 로드라이딩의 경우 안장코의 기능성은 크게 고려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트라이에슬론 안장의 경우엔 전경자세를 잡기에 편하도록 약간 두껍고 더 길게 나오기도 한다.


안장코가 아예 없는(Noseless saddle)에 관해서는 포스팅 말미에 덧붙이도록 하겠다.


다음은 안장의 날개이다. 엉덩이를 전체적으로 떠받치는 안장의 넓은 부위를 말한다. 일반적인 경우 산악자전거의 안장이 로드바이크의 안장보다 날개는 넓게 나온다. 특히 올마운틴 이상의 라이딩용 안장은 날개의 넓이도 넓이고 두께 자체도 더 두껍게 나온다. 충격이 그만큼 세게 전달되는 상황이므로 라이더에게 전달되는 것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함이다. 


안장에 엉덩이를 지속적이로 붙이고 페달링을 하는 시간이 긴 용도의 자전거일수록 안장 날개의 폭은 전체적으로 좁아진다. 입문단계의 라이더들이 이 점을 가장 불편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로드바이크나 XC용산악자전거의 안장이 좁은 이유는 안장날개가 넓으면 페달링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날개가 넓으면 허벅지 안쪽이 안장에 쓸려 통증을 유발하기도 하고 특히 자전거를 오래 타면 탈수록 엉덩이와 허벅지가 연결되는 엉덩이 아래 근육이 상당히 발달하게 된다. 이 발달된 근육이 안장 날개와 접촉하게 되면 우리말로 이른바 근육이 배겨서 그 통증이 만만찮다.


때문에 운동을 목적으로 자전거를 열심히 탄 사람들은 오히려 넓직한 안장을 꺼려하게 되는 것이다. 통증과 관련해서는 역시 아래에 덧붙이도록 하겠다.






로드바이크와 산악자전거 안장의 날개에 차이점을 한가지 더 덧붙이자면 그 끝이 자전거 바지에 걸리지 않게 형태를 띠고 있다는 점이다. 


산악자전거의 경우 옆의 사진과 같이 내리막 지형에서는 체중을 안장 뒤쪽으로 이동시켜서 달리게 된다. 그러다 다시 페달링을 하기위해 안장으로 엉덩이를 이동할 때 바지 안쪽이 안장 날개 뒷부분에 걸리게 되면 위험한 상황에 맞닥뜨릴 수 있다.

해서 산악자전거의 경우 로드바이크처럼 이런저런 멋을 위한 디자인이 없는 것이 일반적이다.


자, 다음으로 안장을 뒤집어보자. 뒤집으면 안장의 근본을 이루는 패널(Pannel)과 안장 레일(Rail)을 확인할 수 있다. 안장 커버 안쪽에 안장의 근본적인 틀을 이루는 패널은 크게 두꺼운 가죽, 플라스틱, 카본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다. 본의 경우 잔진동을 잡아준다는 기능을 강조하며 고가이다. 안장 레일은 시트포스트와 결합이 이뤄지는 부분을 말한다. 역시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다. 크로몰리, 알루미늄합금, 티타늄 순으로 가격이 올라간다. 요즘엔 티타늄보다 강도가 더 세고 무게도 가벼운 바녹스(Vanox)라는 이름의 레일이 공급되고 있다. 레일의 경우 시트포스트에 결합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하중을 싣게 되면 쉽게 변형이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좌우 균형이 틀어지면 안장 자체가 비스듬하게 되고 다시 펴기가 어렵다. 


가끔 바닥에 올려두고 앉아 보다 레일이 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안장을 전체적으로 덮고 있는 커버를 들 수 있다. 커버의 소재는 비닐,가죽,인조가죽,카본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다. 일부 안장의 경우 엉덩이의 움직임을 잡아주는 소재를 일부 섞어서 기능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딱딱한 카본을 커버의 소재로 사용하는 이유는 안장 바빙(Bobbing)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바빙이라는 개념은 이미 서스펜션 포크를 포스팅할 때 설명한 내용이다. 기록을 내기 위해 안장의 미세한 움직임마저 꺼려하는 선수들을 위해서 단단한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즉 페달링시 안장의 진동이 페달링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워낙 고가의 안장이니 어떤 안락함이 있지 않을까, 하여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나중에 약간 실망할 수도 있다.



자전거 안장의 사이즈.


자전거의 역사가 계속 이어지면서 안장에도 역시 사이즈라는 개념이 생겼다. 자전거 안장의 케이스나 쇼핑몰의 사양표를 유심히 살펴본 사람이라면 안장의 사이즈도 확인하였을 것이다. 무게 다음에 275×140mm와 같은 수치를 보았을 것이다. 앞의 숫자는 안장의 길이고 뒤의 숫자는 넓이이다.



회사마다 용도별 모델별로 그 사이즈가 다 다르므로 일률적으로 어떤 사이즈의 안장이 적당하다고 추천하기는 좀 어렵다. 



자전거 안장의 사이즈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앞뒤의 길이보다는 안장 날개의 좌우 사이즈이다. 제조사의 많은 개발자들은 안장의 사이즈는 싯본(Sit bone)의 넓이에 의해 좌우된다고 결론을 내린 상태이다.



우측 그림 A를 보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는 물론이고 자전거 안장에 엉덩이를 실을 때 접촉이 이뤄지는 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뼈를 자전거 이론이나 기술 문서상에서는 싯본이라고 한다. 해부학에서의 명칭은 따로 확인한 적이 있는데 기억이 안난다. 나중에 기억나면 수정하도록 하겠다.


싯본의 넓이가 넓은 사람은 안장의 사이즈가 큰 것을, 좁은 사람은 좁은 안장을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스페셜라이즈드의 기술진은 권하고 있다.


싯본은 의자에 앉아 손바닥을 엉덩이 안쪽으로 넣은 상태에서 페달링을 하듯이 허벅지를 좌우 번갈아 올려보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스페셜라이즈드의 기술진은 이 싯본의 넓이가 70-100인 경우는 130미리 넓이의 안장을 100-130인 사람은 143미리 130-160인 사람은 155미리나 그 이상 사이즈의 안장을 권하고 있다. 이는 안장통증과도 연관이 있다. 자사의 안장을 부곽시키기 위해서이기도 하겠지만, 어쨌든 상기 제조사에서는 싯본의 넓이를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툴을 딜러들에게 공급하고 있는데 집에서도 세밀한 정도로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스스로 어느정도까지는 측정이 가능하다.


의자보다는 평평한 계단이 좋다. 약간의 탄력이 있고 두께가 일인치 이상의 방석을 깔고 그 위에 음식물을 포장하는 알루미늄 호일을 엉덩이 넓이보다 넓게 깐 다음 허리를 펴고 그 위에 앉는다. 발을 살짝 들어주면 엉덩이의 싯본이 호일과 그 아래 방석에 집중되게 된다. 페달링을 하듯이 무릎을 번갈아 움직여줘도 좋다. 


그 다음 천천히 일어서면 호일은 싯본이 집중된 곳이 함몰된 상태로 형태를 유지하고 있을 것이다. 그 양쪽 중심을 자로 측정하면 된다. 이 방법 말고도 각목을 두개 사용하여 가장 중심을 잘잡고 있는 지점을 찾아 각목위에 엉덩이를 올려 본 다음 각목의 중심과 중심 사이를 측정해도 얼추 비슷한 싯본 넓이를 구할 수 있다.


싯본의 넓이는 일반적으로 여성이 넓다. 골반의 사이즈가 넓기 때문이다. 해서 여성용 안장은 같은 회사 같은 모델의 경우 남성용보다 사이즈가 넓은 것이 일반적이다. 지금 안장에 뭔가 불만이 있다거나 수명이 다해 새 안장을 찾고 있는 사람이라면 한번쯤 적용해볼만한 이론이라고 생각한다.


자전거 안장통증의 원인과 해결.


자전거를 본격적으로 다시 타기 시작한 입문자에게 가장 많이 듣는 이야기는 엉덩이가 아파 죽겠다는 것이다. 무슨 안장을 이렇게 딱딱하고 좁게 만들어 사람을 고생시키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는 푸념을 자주 듣는다. 우리는 지금까지 자전거 안장에 대해 사전지식을 이미 일별하였기 때문에 어느정도 오해는 해소되었으리라 믿는다. 필자도 안장통을 겪었던 사람이라 입문자의 마음도 잘 이해하고 있다.


일부 입문용 자전거의 경우 원가절감의 이유나 판매목적상 속된말로 이른바 뽀대를 위해 입문자들에게 적당치 않은 좁고 딱딱한 안장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때문에 입문자의 푸념이 인내심이 없거나 단순한 투정만은 아닐 것이다. 특히 입문용으로 명성이 자자한 모 자전거의 경우 필자가 보기에도 적당치 않았다. 이 점은 제조사에서 개선해야할 부분이다.


먼저 안장의 통증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엉덩이 양쪽의 통증, 전립선이나 여성의 생리적 특성에서 오는 회음부 중앙의 통증, 그리고 뒷쪽 허벅지와 안장의 접촉으로 인한 근육통이다.


가장 많이 호소하는 통증은 역시 엉덩이 양쪽의 통증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엉덩이의 통증은 싯본과 안장이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한다. 우리 인체는 이렇게 뼈와 피부에 어떤 하중이 실리기 쉬운 곳에는 일반적인 피부와 구분되는 조직이 있다. 자전거 기술문서상에는 이를 소프트 티슈(Soft tissue)라고 한다. 가령 팔꿈치 끝이나 복숭아뼈 등에도 이런 조직이 있다. 엉덩이 통증이 근원은 이 소프트 티슈 부분이다. 이곳에서 발생하는 통증은 완전히 없앨 수는 없으나 적당한 사이즈의 안장을 사용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는 것이 그간 연구의 결과이다. 이 부분이 만나는 안장의 양쪽을 구멍을 낸 안장도 본 적이 있다.


넓고 푹신한 안장을 사용하면 덜 아프지 않냐고 생각할 수 있다. 몰론 그럴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한시간 이내의 짧은 라이딩에나 적용할 수 있다. 넓고 푹신한 안장은 라이딩 시간이 길어지면 질수록 오히려 싯본과 안장의 특정부위의 접촉을 더 집중시키는 역효과로 인해 더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는 필자도 경험한 바다. 필자는 입문을 집안 한구석에 팽개쳐져 있던 생활자전거로 시작한 사람이라 잘 알고 있다. 그 넓직하고 푹신하며 스프링까지 달린 안장에서도 많이 힘들었던 경험이 있다.


이 부위의 통증은 어느정도 단련이 되어야 하고, 자전거 전용의류를 입으면 통증이 훨씬 감소하니 입문단계에서 엉덩이 통증으로 고생스럽다면 패드가 달린 자전거용 속옷이나 타이즈 착용을 추천한다. 그리고 라이딩하면서 내리막이나 평지가 나오면 수시로 안장에서 엉덩이를 들어주어 엉덩이 주변의 혈류를 통하게 해주면서 타야한다. 아무리 자전거를 오래 탄 사람이라도 안장위에 엉덩이를 붙이고 삼십분 이상이면 불편함이 없을 수 없다.


그 다음은 전립선의 통증인데 요즘은 워낙 깊고 넓게 안장의 뒤쪽까지 전립선과 안장의 접촉을 사전에 제거해버린 안장이 많으므로 선택의 폭이 넓은 편이다. 위의 그림 B에서 처럼 안장의 컷 어웨이(Cut away)형태가 전립선 부위의 혈류량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 회음부 압박감이나 저리다는 느낌은 이런 형태의 안장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다만 한가지 지적하고 싶은 것은 제조사마다 컷 어웨이 방식이 반드시 좋은 안장이냐는 것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대표적 안장 제조사인 피직의 경우 패널 안쪽은 절개를 하지만 커버에는 구멍을 내지 않는 것을 고집하고 있다. 그곳의 개발진은 체중의 고른 분산이 결국은 가장 좋은 통증의 해결책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개인적으로도 동의하는 바다.


나머지 허벅지 뒷쪽의 통증은 역시 날개 사이즈가 적당한 것을 선택하면 자연스럽게 해결되기도 하는 문제고 요즘은 날개 안쪽에 탄력있는 소재를 집어넣어 어느정도 유동성을 가지도록 고안된 안장도 공급되고 있으므로 크게 문제가 안된다.


자전거 안장 선택.


만약 당신이 이제 갓 입문하였고 마침 자전거 안장이 어떤 의도를 가지지 않은 상태의 그저 딱딱하고 좁기만한 안장이어서 고통스러운 상황인가?


그렇다면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은 안장은 자전거 안장 전문 제조사의 272×177mm사이즈의 가운데가 넓에 절개된 안장을 권한다. 특정 모델을 언급하지 않고 있지만 이 사이즈를 찾아보면 아마도 하나뿐일 것이다. 이 안장을 사용하면서 아프다고 하는 유저는 크게 없었다.


일단 넓으면서도 중앙이 크게 뚫린 안장으로 자전거 타는 시간을 늘려가다가 운동능력과 엉덩이 단련, 그리고 근육이 발달되면 점점 사이즈를 줄여가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자전거 타기에 어느정도 시간이 흘렀고 장거리 여행을 꿈꾸고 있다면 첫번째 사진상의 제일 오른쪽 안장처럼 가운데가 절개가 되지 않았더라도 전체적으로 엉덩이를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디자인의 안장을 권한다. 물론 기존에 잘 사용하고 있는 안장이 있다면 일부러 바꿀 이유는 없겠으나 아무래도 장거리여행에는 체중이 분산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언론에서 워낙 자전거 오래 타면 발기부전이 어쩌니 겁을 줘서인지 아예 전립선에 접촉을 없애기 위해 안장코가 없는 안장도 소개되고 있는 모양이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본격적인 자전거 라이딩을 위해서는 크게 권하지 않는다. 산악자전거의 경우 안장코가 없으면 자전거의 균형을 잡거나 코너에서 회전을 할 때에 어려움이 있다. 지형에 따른 라이딩 자세를 잡아야 할 때 허벅지 안쪽으로 안장코를 잡아야 하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이론가들은 실내 헬스용 자전거등에만 적용할 것을 권하고 있는데 이 안장으로 세계일주를 하고 있는 분이 있어서 입바른 소리를 하기가 조금 조심스럽다.


잘 알아보고 선택한 것은 아니었으리라 생각한다. 사족이지만 자전거를 오래 타면 전립선에 혈류량이 떨어져서 발기가 어쩌고 저쩌고의 기사는 필자가 자전거에 입문한 이후로 한 열두번은 확인한 것 같다. 신문기사의 내용도 토시하나 틀리지 않아서 웃겼던 적도 있다.


아마도 봄이 되면 스포츠 신문, 일간지 한귀퉁이에 또 실릴 것으로 예상한다. 각설하고 자전거 타서 고장날 전립선이면 그냥 의자에 앉아 장시간 업무를 봐도 문제가 발생했을 전립선이라고 본다. 자전거 커뮤니티에 자전거와 전립선 이야기를 꺼내면 대부분의 동호회원들은 콧방귀를 뀐다. 너무 걱정말고 적당한 안장으로 자전거 열심히 탈 것을 권한다.



자전거 안장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공작소 


일부 이미지는 구글 이미지와 스페셜라이즈드 홈페이지에서 인용하였음.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