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전거정비/포크&시트포스트

나사산 방식 포크의 분해와 정비

반응형


나사산 방식(Threaded) 포크의 분해와 정비


준비물


.장갑

.조절 렌치, 혹은 헤드세트 렌치

.육각렌치

.디그리서

.그리스


지금까지는 포크와 스템이 연결되는 부위인 스티어 튜브에 나사산이 없는(Threadless)방식의 포크에 대해 주로 다루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래식 로드바이크와 생활자전거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나사산 방식의 포크를 분해해봄으로써 그 구조는 물론이고 같이 사용되는 헤드세트 그리고 스템에 대하여 알아보겠다.


biketool링크  휠셋분리   포크와헤드세트분리   헤드세트란?


아래 사진에서와 같은 형태가 어떻게 보면 우리 눈에 가장 익숙한 형태의 포크와 헤드세트 스템일 것이다. 요즘은 일부 클래식 로드바이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본격 산악자전거와 로드바이크에는 사용하고 있지 않는 방식이다. 그래도 대부분의 저렴한 생활자전거가 이 방식이어서 어떻게 보면 자전거를 타기 시작한 많은 유저들이 가장 많이 접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색상과 일부 디자인에서 미세한 차이가 있을 뿐 분해방식과 구조는 동일하다.



1.먼저 큐알을 느슨하게 풀어준 뒤 휠셋을 제거한다.



2.육각렌치로 브레이크 고정 볼트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제거한다.



3.브레이크 암을 제거해준다.



4.상단캡을 제거한 뒤.



5.육각렌치로 스템 고정볼트를 사계반대방향으로 돌려 느슨하게 만든다. 완전히 제거하려고 계속 돌리지 말것. 서너바퀴 돌려서 느슨해지면 분해가 가능하다.



생활자전거의 경우 아래 사진과 같이 육각렌치를 삽입할 수 있는 볼트가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같은 요령으로 서너바퀴 돌리면 볼트가 위로 돌출된다. 그 후 스템을 뽑아당기면 분리가 되는데 빗물에 노출되어 하단 고정부위에 녹이 쓴 경우는 저항이 심한 경우가 있다. 그럴 때는 우레탄 망치나 여타 단단한 물질로 볼트 부위를 위에서 아래로 한번 내리치면 쉽게 스템이 뽑힌다.



6.스템을 포크로부터 뽑아올린다.



이런 형태를 기존에 많이 다루었던 어헤드(Ahead)방식 스템과 구분하여 퀼(Quill)스템이라고 한다. 상단의 고정볼트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하단 고정부위가 넓어져 포크 스티어 튜브 내측과 만나 고정되는 방식이다. 때문에 분리시 고정볼트를 계속 풀면 하단 부속이 떨어질 수도 있다.


자세히 보면 스템의 기둥, 삽입되는 부위에 화살표와 표시선이 음각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한선을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 선 아래로는 스템을 뽑아서 고정하지 말라는 의미다. 퀼스템의 경우 구조에서 기인해서인지 핸들바의 높이를 올리기 위해 스템을 뽑으면 뽑을수록 미세한 유격이 생기는 것을 경험했다. 자전거에 따라 다르겠지만 높이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높이면 내리막에서 브레이크를 잡을 때 핸들을 비롯한 조향파트에 전체적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이른바 미국 명품 수제 미니 스프린터에서도 동일한 현상을 확인한 적이 있다. 이른바 명품 자전거는 멋을 위해 고전 방식의 포크와 스템을 사용했고 유저는 허리를 펴기 위해 스템을 뽑아서 고정하니 진동이 발생하더라는. 도대체 명품이라는 것의 정의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케 하는 일이었다. 값이 싸지도 않으면서 완성도가 높지 않다면 이걸 뭐라고 불러야 할지.


혹시 다른 부분을 다 확인하고 조치를 취했는데도 핸들에 진동이 느껴진다면 스탬을 조금씩 낮춰서 고정한 다음 진동이 없는 높이까지 내려볼 것.


각설하고.



7.조향파트를 아래로 자연스럽게 떨어뜨린 다음.



8.포크를 고정하고 있는 너트를 분해한다.



모양새만 약간의 차이가 있지 기본적인 구조는 같다. 고가의 클래식 로드바이크는 은색으로 번쩍일 때가 있는데 역시 구조는 동일하다.



9.조절가능한 렌치로 상단 포크 고정 너트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서 분리한다. 자전거 전용 헤드세트 렌치가 있는데 일반공구를 사용해도 작업에 무리가 없다. 흠집이 염려되는 사람은 공구와 부속 사이에 얇은 천을 감싼 후 작업하면 된다.



자, 아래 사진을 보면 왜 나사산 방식이라고 했는지 이해가 될 것이다. 지금까지 공부했던 나사산이 없는 방식은 포크를 고정하기 위해 스타너트(해바라기)가 스티어튜브 내부에 장착되고 헤드세트 캡의 볼트와 연결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나사산 방식은 헤드세트 고정 너트가 포크의 나사산에 연결되는 형태이다.



10.워셔를 제거하고 유격 조절 너트를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 분해한다.



11.내부 헤드세트 베어링을 들어낸 후 프레임을 잡고 포크 하단을 아래로 내리면 포크가 분리된다.



분해된 포크와 헤드세트의 여러 부속들을 순서에 따라 배치해 보았다. 모든 정비가 그렇듯이 순서와 조립방향에 따라 가지런히 늘어놓아 두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크라운레이스라던가 헤드셋 컵의 분리는 이전에 배웠던 방법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그 과정은 생략.



12.디그리서나 청소용 용액을 충분히 뿌린 후 이삼 분 기다린 다음 걸레로 기름때를 제거한다.



13.깨끗해진 베어링이다. 이런 형태처럼 베어링을 흩어지지 않게 잡아주고 있는 것을 리테이너(Retainer)라고 하기도 하고 케이지(Cage)라고 하기도 한다. 혹시 끊어지거나 느슨하게 된 것이 없는지 확인한 다음. 그리스를 전체적으로 발라준다.



14.베어링을 재장착한다. 방향에 주의할 것. 상단 베어링은 이 방향과 반대이다.



15.포크를 프레임에 집어넣고 베어링을 안착시킨 다음 유격 조절 너트를 시계방향으로 돌려서 재장착한다. 베어링과 만나서 마찰된 부분이 하얗게 띠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스가 필요한 이유다.



16.유격 조절 너트의 튜닝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금까지 배웠던 허브의 튜닝과 오픈방식 비비 베어링 튜닝과 같은 개념이다. 이 너트를 세게 조이면 위 아래 베어링에 과한 힘이 작용하여 핸들이 뻑뻑하게 돌아가게 된다. 반대로 너무 느슨하게 되면 유격이 발생하여 포크가 흔들리게 된다.


내리막에서 브레이크를 잡고 내려가는데 포크가 흔들리는 진동과 소음이 발생한다면 이 유격 조절 너트와 포크 고정 너트를 다시 조정해주어야 한다.


이전 허브와 비비의 튜닝 개념과 마찬가지로 좌우 작동은 원활하면서도 유격이 발생하지 않는 포인트까지만 살짝 조여준다. 포크하단을 앞뒤로 흔들어보고 좌우로 돌려보면서 확인.



17.그 다음 고정 너트를 조여주어야 하는데 중요한 것은 튜닝해놓은 하단 유격 조절 너트가 동시에 돌아가게 되면 다시 튜닝을 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가장 이상적인 작업과정은 튜닝 해놓은 하단은 움직이 않게 손가락이나 공구를 사용하여 단단히 고정한채 고정 너트만 오른쪽으로 돌려 주어야 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론적인 설명은 이렇지만 직접해보면 다양한 노하우가 생길 것이다. 어떤 사람은 하단 조절 너트를 조금 느슨하게 튜닝한 다음 고정 너트를 조여줄 때 하단 조절 너트도 같이 돌아가게 해서 포인트를 찾아가는 사람도 있다. 그만큼 하단 너트가 상단을 고정할 때 돌아가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원리를 숙지한 다음 각자의 노하우가 쌓여야 한다.


프레임을 잡고 포크 하단을 앞뒤로 흔들거나 좌우로 돌려서 회전과 유격이 동시에 원활한지 체크하면서 원하는 수준의 튜닝이 나올 때까지 반복 또 반복.


왜냐면 이 방식의 경우 튜닝이 뻑뻑하게 되면 핸들을 잡고 방향을 전환할 때 그 느낌이 그대로 라이더에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미세하지만 이는 상당히 불쾌하기도 하고 세밀한 조향에 악영향을 끼친다.



18.스템을 원위치 시키고.



19.높이를 정하고 스템을 일직선으로 맞춘 다음 스템 고정 볼트를 시계방향으로 단단히 고정하면 작업이 끝나게 된다.



지극히 개인적인 견해지만, 개인 취향에 따른 디자인 빼고는 크게 장점이라고 할 만한 것이 떠오르지 않는 방식이다. 요즘 복고풍을 타고 클래식 로드바이크를 원하는 수요층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이 방식의 자전거를 타는 유저에게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구조상 빗물에 노출되는 것은 되도록 삼가는 것이 유지에 덜 번거롭다./공작소

300x250